뻐꾸기가 울어야 여름인가?

1996. 6. 24

언제부턴가 나랏님을 소재로 한 만평들이 자유롭게 게재되기 시작했다. ‘영상, 영상’ 이라는 코미디 프로가 특정인을 연상케 한다는 이유로 프로 명칭을 바꾼 후 코미디 프로에서 점차 임금님을 등장시키는 풍자 코미디가 자율적(?)으로 없어지고 있다는 기사가 있었지만...

6월 11일자 문화일보 만평에 곳곳에서 새고 터지는 국정의 현안문제와 꼬일대로 꼬인 여야문제의 한 가운데서 땀을 뻘뻘 흘리며 당혹스러워 하는 어떤 사람이 용접기를 들고 어쩔 줄 몰라하는 그림이 상징적으로 실렸다.

이미 불거져 나온 일들을 사후 수습하느라 분주하기는 하지만 해결한다고 해도 크게 공이 나지 않는 그러한 문제에 매달려 있는 국정의 현상들이 잘 나타나 있다. 진정 국민이 원하는 바를 잘 모르는 것일까? 무엇이 현안의 문제인지를 모르는 것일까?

쌀 수입문제를 놓고 심각한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정부의 정책은 장고(長考) 끝에 악수(惡手)를 둔 형국으로, 결과적으로는 여론의 비난을 받는 꼴이 되었다. 시대가 변하면 국민의 의식수준도 자연히 올라가는 모양이다.

우리 회사 본관 식당 앞 화단에 철 이른 코스모스가 피었다.

“허 그놈 벌써 피었네”하는 신기한 느낌을 줄 수는 있겠지만 가을의 정취에 어울리는 그런 코스모스는 아니다. 우리의 사계절은 계절의 특색과 함께 그 모양을 바꾸어 간다.

‘진해 군항제’를 알리는 소식과 함께 봄이 오고, 운치 있게 울어 제끼는 밤 개구리 소리와 함께 여름이 성큼 다가와 무궁화가 피고 백 날이 지나면 가을이 온다.

산골 마을 밥짓는 냇내(연기냄새)가 등산객의 코를 향수로 자극할 때 가을은 깊어지는 밤과 함께 겨울 속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4계(季)는 피부나 눈으로 느끼기에 앞서 마음속에 달려오고, 달력속의 빨간 동그라미들이 이미 계절을 형성하는 것이 아닐까?

앞산에 뻐꾸기가 구성지게 울지 않으면 아직도 여름이 아닌 것일까?

오늘의 변화를 보고 느끼고자 하면 이미 늦게 되는데도, 우리는 아직까지 변화의 의미를 모르는 것일까?

아직도 현대중공업의 뻐꾸기는 울지 않았나?

그래서 우리는 혹서의 여름을 느끼지 못하는 걸까?

'글모음 > 경영혁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웃음의 종류  (0) 2014.03.26
차이  (0) 2014.03.26
비가 오면 새들은...?  (0) 2014.03.26
디딤돌과 걸림돌  (0) 2014.03.26
반비례  (0) 2014.03.26

반비례

1996. 6. 17

어느 일간지의 생활영어 코너 4단 만화에 의미 있는 내용이 실렸습니다.

주인공은 대 여섯 살 난 남자아이로 생각되는 캐릭터인데 아마도 아버지와의 대화 대목이 아니었겠나 싶은 내용입니다.

대화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물론 만화의 컷에서 아버지는 보이지 않고 아이의 표정만 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 TV에서 ‘살인마 무도회 여왕’이라는 영화 봐도 돼요?

- 안 돼!

- 이 미끈거리는 아스파라거스 먹어야 돼요?

- 그럼!

- 밤늦게 까지 안 자도 돼요?

- 안 돼!

- (아이는 잠자리에 들면서 중얼거립니다) 사람에게 유익한 일과 재미있는 일 사이 에는 반비례관계가 있어.

우연한 기회가 있어 유유자적하게 하늘을 날고 있는 새를 보게 되면 사람들은 흔히 ‘자유로움’을 연상하게 되지만, 새도 종류마다 달라서 날개 짓 자체가 참 힘들어 보인다 라고 느끼게 하는 새가 있습니다. 정확한 관찰은 아니겠지만 비교적 큰 덩치의 까치가 날아가는 것을 보면, 여유로움 보다는 생존의 날개 짓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더라는 것입니다.

조물주는 저마다 그의 피조물들을 각각 특색 있게 창조했다고 합니다. 똑 같은 것이 하나도 없이 저마다 개성 있게 말입니다. 각기 아주 특이한 기능을 갖고 있다고 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를 가만히 살펴보면 생존의 현상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그 기능을 가지고 삶을 풍요롭게, 여유롭게, 멋지게, 뽐내며 살도록 구상된 것이 아니고, 그 기능을 이용해야만 먹고 실 수 있고,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게 기능을 부여받았다고 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백수의 왕이라는 사자는 혼자서 사냥하는 예가 없습니다. 유독 청각이 발달한 토끼는 뒷다리도 함께 발달하였습니다. 눈이 안 보이는 두더지는 땅을 잘 팝니다. 타조는 하늘을 날 수없어도 튼튼한 다리가 있어 뜀박질을 잘 하는 재간을 타고났습니다.

이런 모양을 볼 때 부여받은 기능을 잘 살린다는 것은 결국 살아남기 위한 처절한 몸짓인지도 모릅니다. 곧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될 줄 아는 물고기는 먹고 남을 만큼의 많은 양의 알을 낳아 종족을 보존합니다. 이러한 자연의 현상 중에 인간의 모습이 있는 것이고, 유기체라고 하는 조직의 모습들이 있는 것인데, 어떤 유형의 조직체건 간에 주어진 기능은 살아남기 위한 기능일 것이고, 환경의 변화는 이들 기능의 숨가쁜 변화를 요구합니다. 그래서 오늘 날 많은 기업들이 바뀌는 환경에 맞추어 ‘변화’를 시도하려는 ‘혁신’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변화라고 하는 것이 만만한 과제가 아닙니다. 그러다 보니 변화를 시도하는 기업들은 많이 있지만 성공했다는 기업들은 많지 않습니다.

오늘 일간지에서 본 만화의 내용은 이 ‘변화’라는 주제를 놓고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기업에 있어서 미래의 바람직한 모습과 오늘의 귀찮은 내 모습은 반비례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더욱 심각한 노릇은 ‘나는 변할 것이 없다’는 자만이겠지요 만...

'글모음 > 경영혁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웃음의 종류  (0) 2014.03.26
차이  (0) 2014.03.26
비가 오면 새들은...?  (0) 2014.03.26
디딤돌과 걸림돌  (0) 2014.03.26
뻐꾸기가 울어야 여름인가?  (0) 2014.03.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