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소재 우정교회 담임목사이신 예동열 목사님의 설교를 요약해서 옮깁니다.

설교 전문은 홈페이지 www.woojeong.or.kr 을 통해서 들으실 수 있습니다.

 

4-9(새벽) 사울의 집과 다윗의 집

 

2014 4 9() 새벽

성경말씀 : 삼하 3:1 ~ 11

설교     : 예동열 목사님

 

오늘 성경 본문 삼하 3 1절 하반절에 보면 다윗은 인물로 표현을 하고 사울은 사울의 집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사울의 집과 다윗의 집 사이에 전쟁이 오래매 다윗은 점점 강하여가고 사울의 집은 점점 약하여 가더라.’

또 삼하 5 10절에는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함께 계시니 다윗이 점점 강성하여 가니라.’ 라고 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의 기준은 오직 한가지입니다. 전적으로 하나님만 믿고, 사랑하고, 의지하느냐 하는 것입니다.

지역에도 영적 장자 교회가 있어서 불을 붓듯 하나님의 능력을 부어주십니다. 있는 자에게 더 해 주시는 하나님이십니다.

 

1.    다윗 한 사람으로 시작된 성령의 역사가 그 집안을 살리고, 오늘날도 이스라엘의 성군으로 기억되는 축복을 주셨습니다.

복을 주심에 있어 가방 끈 같은 것 필요 없습니다.

 

2.    삼하 1:1절의 ‘~가고 ~ 가리라.’ 는 아주 중요한 표현입니다. 헬라어의 할라크인데 앞의 것이 뒤의 것에 영향을 주면서 ‘~가고, ~ 가리라의 뜻입니다.

1)    즉 다윗은 갈수록 점점 영향을 받아서 강하여 가고, 사울은 주님을 사랑하지 않는 마음 때문에 약하여 가고

2)    좁은 길과 넓은 길을 택할 택할 때는 별 차이가 안 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눈은 현미경보다 1000만 배나 세밀합니다. 예를 들면 우리교회 3-3-3 경건운동에 동참하는 성도나 그렇지 않은 성도가 처음엔 별 차이가 없는 것 같지만 세월이 갈수록 ‘~가고, ~ 가리라가 될 것입니다.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데 여러분의 시간을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3)    강하다는 하자크로 모든 범사에 강함을 의미합니다. 가고 가면서 점점 강하여 간다는 의미인데, 어느 한쪽 방면에서만 아니라 신분, 경제, 사회, 자녀등 모든 문제에서 강하여 간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약하여 간다는 것은 따를이라는 의미로 전반적으로 다 약해져 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론을 맺습니다.

삼하 3 2절에서 5절을 보면 다윗의 아들들이 나오는데,

1)    부인이 다 다릅니다. 여러명의 부인이 이미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삼하 3 13절에 보면 사울의 딸 미갈을 불러오라고 합니다.

    아브넬은 이스보셋(사울의 아들)왕의 군대 장관이 아스보셋의 처와 통간하여 관계가 틀어지고, 다윗에게 의탁하고자 합니다.

    이 때 다윗의 조건은 “’미갈을 데려오라.”는 것입니다. 이때 다윗에게는 이미 6명의 처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또 다시 여자를 요구합니다.

    다윗의 약점은 여자 문제였습니다. 특히 유부녀에게 집착하는데, 성경학자들은 아마 그의 모친으로부터 상처가 있지 않았을까 추측합니다.

2)    오늘 하나님에 대한 나의 약점은 무엇입니까?

    성령의 실리콘으로 날마다 틈을 메워야 합니다.

    다윗은 강하여 가고 강하여 갔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꼭 극복해야 할 나의 약점은 무엇입니까?

 

+ Recent posts